여름철 감기, 방심하면 더 위험한 이유와 똑똑한 대처법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 한여름에 감기를 앓고 있노라면, 어른들의 이 말을 떠올리며 괜스레 민망한 기분이 들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옛말이 무색할 정도로, 여름철 감기로 고생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에선 여름 감기가 더 위험하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정말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여름 감기야말로 우리가 더 조심해야 할 계절 질환 입니다. 단순히 환절기 감기보다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가는 경우가 많고, 증상 인식이 늦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도 합니다. 오늘은 그 이유와 함께,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여름 감기 예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름에도 감기가 걸리는 이유 감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흔히 추운 날씨에만 바이러스가 활동한다고 생각하지만, 여름에도 활동성 높은 바이러스가 존재합니다. 특히 에코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장바이러스 처럼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활발해지는 여름형 바이러스가 여름 감기의 주범입니다. 게다가 여름철은 실내외 온도 차가 큰 계절입니다.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실내는 22도 이하로 내려가 있는 반면, 바깥은 30도를 훌쩍 넘습니다. 이로 인해 체온 조절에 관여하는 자율신경계가 쉽게 무너지고, 면역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과도한 냉방과 급격한 온도 변화가 여름 감기를 부추기는 주된 원인 입니다. 여름 감기, 방치하면 더 위험한 이유 여름 감기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초기 대응이 늦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이 칼칼하거나 코가 막혀도 “에어컨 때문이겠지”, “피곤해서 그런가보다” 하고 넘기게 되죠. 문제는 이럴 때입니다. 초기 대응을 놓치면 바이러스가 호흡기 깊숙이 침투해 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탈수와 열사병 위험까지 겹칩니다. 체온이 상승한 상태에서 감기 증상이 겹치면, 평소보다 몸에 무리가 가기 쉽습니다. 특히 노약자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에게는 작은 감기가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여름 감기는 코로나19나 독감과 증상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