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청과효소차이인 게시물 표시

발효청인가, 효소인가, 청(淸)인가: 흐름과 쟁점 속으로

이미지
  “엄마, 나 예전에 ○○청 담갔었지?”  “효소액 먹으면 내장 정화된다더라.”  이런 기억들이 한때 우리 집 식탁 한쪽을 채웠던 적 있지 않나요? 산야초, 매실, 생강, 각종 약초나 열매를 설탕과 섞어 숙성시키는 ‘청(淸)’ 제제가 유행했고, 지금도 여전히 가정에서,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회자됩니다. 그 과정에는 “발효”, “효소”, “숙성” 등의 단어가 함께 섞여 있고, 이 혼종 언어 속에는 소비자의 기대와 과장, 과학적 현실 사이의 간극이 숨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흐름을 정리하고, 발효청과 발효효소, 청의 차이와 과학적 타당성, 앞으로의 관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청 열풍의 배경과 기억 청 제제의 확산 2000년대 중반 이후, ‘자연건강식’, ‘무첨가’, ‘디톡스’ 등의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집에서 다양한 약초나 과일을 설탕에 담가 ‘청’을 만드는 문화가 급속히 퍼졌습니다.  매실청, 생강청, 귤청, 가지청, 더 나아가 쌍화청, 더덕청 등도 등장했고, 이를 “발효액” 혹은 “효소액”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거나 공유하는 경우도 많았죠. SNS가 본격화되면서 ‘나만의 효소’, ‘장속 정화’, ‘해독청’이라는 키워드가 널리 퍼지면서 청류 제제는 단순한 전통 방식에서 건강 아이템으로 격상되었습니다. 소비자 기억과 기대 청 한 스푼 + 물 타서 먹으면 속이 개운해진다 효소액 덕분에 변비가 나아졌다 자연 숙성되니 효소가 살아 있다 이야기들이 많이 공유되었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청 하나쯤 집에 담아두거나 선물해본 적이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 경험들이 과학적으로 얼마나 뒷받침될까요? 발효 vs 청 vs 효소 - 용어의 경계 발효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와 대사산물을 만드는 과정 미생물 증식 및 대사활동이 일어나며, 거품, 산도 변화, 냄새 변화, 온도 변화 등이 동반될 수 있음 김치, 된장, 요구르트 같은 전통 발효식품이 대표적 청(淸) 재료와 설탕을 혼합해 숙성시키는 방식 발효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단맛이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