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근골격계건강인 게시물 표시

근골격계 통증, 신발부터 바꿔야 하는 이유

이미지
  우리는 하루 중 상당한 시간을 신발을 신고 보냅니다. 하지만 그 신발이 과연 우리 몸에, 특히 근골격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허리, 무릎, 발에 통증이 시작되었다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바로 '신발'입니다. 신발의 진화, 건강의 퇴화 인류는 태초에 맨발로 살아갔습니다. 땅을 직접 밟고, 발의 감각을 이용해 주변을 인지하고 움직였습니다. 이후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을 신기 시작했는데, 여기까지는 자연스러운 진화였습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신발에 '멋'이 가미되면서 딱딱한 가죽, 높은 굽, 과도한 쿠션이 추가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발은 본래의 기능을 점점 잃게 되었고, 그 여파는 근골격계 전체로 퍼졌습니다. 특히 여성들이 자주 신는 하이힐은 요추(허리뼈)를 비정상적으로 전방으로 밀어내고, 골반의 각도까지 바꾸어 척추 협착증이나 골반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서 만성 통증과 구조적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쿠션의 함정: 편안함이 아닌 무감각 많은 이들이 '쿠션 좋은 신발'을 선호합니다. 발이 푹신하니 편안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나친 쿠션은 발의 감각 수용체를 둔화시키고, 민첩성, 반사신경, 심지어 자율신경까지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발이 땅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면, 우리의 신경계는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근육은 점점 굳어지며, 관절의 기능도 저하됩니다. 결과적으로 발바닥 통증의 대표 질환인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무릎 통증, 고관절 불균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통증의 원인을 노화나 과사용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은 잘못된 신발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어떤 신발이 근골격계에 좋은가? 정답은 간단합니다. '맨발에 가까운 신발'이 가장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맨발 걷기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그에 가까운 최소주의(minimalist)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조건을 참고하...

걷기만 해도 달라지는 근력과 자세, 나이 들수록 더 중요한 이유

이미지
  건강의 시작은 두 발에서 나이가 들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계단 몇 층만 올라가도 다리에 힘이 빠지는 걸 느끼는 순간, 몸이 달라졌다는 걸 실감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런 변화는 단지 나이 탓만은 아닙니다.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더 빨리 노화가 찾아오는 것 입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리한 운동이 아닙니다. 돈 들여 헬스장에 다니는 것도 아닙니다. 바로 걷기입니다. 걷는다는 건 단순해 보이지만, 우리 몸 전체에 유익한 신호를 보내는 아주 강력한 행위입니다. 특히 근육과 뼈, 관절로 이어지는 근골격계 를 유지하는 데 걷기만큼 효과적인 운동은 드뭅니다. 걷기가 근육과 뼈에 주는 진짜 효과 사람의 몸은 쓰지 않으면 퇴화합니다. 다리 근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좋은 보약을 챙겨 먹어도, 움직이지 않으면 근육은 빠지고 뼈는 약해집니다. 하지만 걷기만 해도 하체 근육이 단단해지고, 척추와 고관절에 가해지는 자연스러운 자극 을 통해 뼈의 밀도가 유지됩니다. 특히, 중장년층에게 걷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줍니다: 근력 유지 : 허벅지, 종아리, 엉덩이 근육을 자연스럽게 자극 자세 교정 : 등을 펴고 걷는 습관이 척추 정렬에 도움 관절 보호 : 무릎, 고관절 주변 근육이 강화돼 통증 감소 골밀도 유지 : 뼈에 가해지는 미세한 자극이 골다공증 예방에 기여 가만히 앉아 있는 시간보다 조금이라도 걷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몸의 구조 자체가 건강해지는 겁니다. 바른 자세면 좋지만, 그렇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물론 걷기를 제대로 하면 더 좋습니다. 어깨를 펴고, 시선을 정면으로, 발뒤꿈치부터 디디며 걷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효과 없잖아"라고 생각하며 시작조차 망설입니다. 그럴 필요 없습니다. 바른 자세로 걷는 게 이상적이긴 하지만, 잘못된 자세라도 걷는 것 자체가 안 걷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몸은 걷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