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족저근막염인 게시물 표시

근골격계 통증, 신발부터 바꿔야 하는 이유

이미지
  우리는 하루 중 상당한 시간을 신발을 신고 보냅니다. 하지만 그 신발이 과연 우리 몸에, 특히 근골격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허리, 무릎, 발에 통증이 시작되었다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바로 '신발'입니다. 신발의 진화, 건강의 퇴화 인류는 태초에 맨발로 살아갔습니다. 땅을 직접 밟고, 발의 감각을 이용해 주변을 인지하고 움직였습니다. 이후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을 신기 시작했는데, 여기까지는 자연스러운 진화였습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신발에 '멋'이 가미되면서 딱딱한 가죽, 높은 굽, 과도한 쿠션이 추가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발은 본래의 기능을 점점 잃게 되었고, 그 여파는 근골격계 전체로 퍼졌습니다. 특히 여성들이 자주 신는 하이힐은 요추(허리뼈)를 비정상적으로 전방으로 밀어내고, 골반의 각도까지 바꾸어 척추 협착증이나 골반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서 만성 통증과 구조적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쿠션의 함정: 편안함이 아닌 무감각 많은 이들이 '쿠션 좋은 신발'을 선호합니다. 발이 푹신하니 편안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나친 쿠션은 발의 감각 수용체를 둔화시키고, 민첩성, 반사신경, 심지어 자율신경까지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발이 땅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면, 우리의 신경계는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근육은 점점 굳어지며, 관절의 기능도 저하됩니다. 결과적으로 발바닥 통증의 대표 질환인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무릎 통증, 고관절 불균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통증의 원인을 노화나 과사용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은 잘못된 신발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어떤 신발이 근골격계에 좋은가? 정답은 간단합니다. '맨발에 가까운 신발'이 가장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맨발 걷기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그에 가까운 최소주의(minimalist)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조건을 참고하...

중년 이후의 족저근막염, 원인과 통증을 잡는 10초 운동법

이미지
  발뒤꿈치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한때는 젊은이들의 과도한 러닝 탓이었지만, 이제는 중년 이후에도 그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죠. 병원에서는 으레 족저근막염이라고 진단합니다. 대부분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굳어진 족저근막이 충격을 받았다거나 또는 아킬레스건이 짧아져서 발바닥에 무리가 간 겁니다.” 이 말, 틀린 건 아닙니다. 하지만 중년 이후의 족저근막염 은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오늘은 그 ‘다른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 합니다. 발바닥 통증, 꼭 '뭉쳐서' 생긴 건 아닙니다 우리 몸은 나이를 먹으면 근육의 힘이 빠지고, 탄력도 줄어듭니다.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종아리 근육도 예외는 아닙니다. 종아리 근육의 힘이 약해지면 그 아래에 붙은 아킬레스건도 탄력을 잃고 느슨해지기 시작합니다. 즉, ‘고무줄’처럼 팽팽하던 힘줄이 늘어나버리는 거죠. 이때 생기는 문제는 무엇일까요? 바로, 충격 분산의 실패 입니다. 아킬레스건이 제 역할을 못하면, 보행 시 생기는 충격이 고스란히 족저근막에 쏠립니다. 결과적으로 족저근막은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반복된 손상 속에 염증이 생기며 만성 통증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즉, 짧아진 힘줄이 아니라, 늘어진 힘줄 이 발바닥의 고통을 만든 주범일 수도 있는 겁니다. 아킬레스건의 과이완을 바로잡는 ‘10초 압박운동’ 이제 해결책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고무줄이 늘어졌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시 긴장’시키는 훈련을 해줘야 합니다. 다행히 이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집에서도 가능하니까요. [운동 방법] 위 이미지처럼 침대 또는 쇼파, 방문 등에서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틈을 찾습니다. 발을 발등까지 틈 안으로 밀어넣고 무릎을 세운 상태로 가지런하게 눕습니다 . 윗몸 일으키기처럼 상체를 일으키는 자세를 취하면 발등이 위로 움직이고 자연스럽게 아킬레스근에 장력이 발생합니다. 이때 아킬레스건에 강한 압박감 이 느껴져야 효과가 있습니다. 10초간 유지 → 10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