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세교정인 게시물 표시

바른 걸음걸이 교정, 걸음만 고쳐선 안 되는 이유

이미지
  요즘 온라인상에서도, 오프라인에서도 ‘걸음걸이 교정’을 지도한다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바르게 걷는 법을 가르치고, 올바른 자세로 걷는 연습을 돕는 영상이나 클래스도 흔합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에 한 가지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과연 걸음걸이 문제는 정말 '걸음'의 문제일까? 걸음걸이 문제, 정말 ‘걸음’의 문제일까? 많은 사람들이 안짱다리, 팔자걸음, 뒤뚱거림 등의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발끝 각도나 무릎 위치를 조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시도가 본질을 빗겨간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낚시대 끝을 붙잡고 손잡이를 조정하려는 것처럼, 겉으로 드러난 문제만 해결하려 하는 접근이지요. 걸음걸이는 결과물입니다. 그 결과를 만든 원인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자세, 체형의 구조적 변화입니다. 체형과 자세가 걸음걸이를 바꾼다 척추와 골반, 고관절의 정렬 상태는 우리가 걷는 방식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앉은 시간이 긴 현대인들에게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틀어진 골반, 굽은 등, 앞으로 쏠린 목 등의 체형 변화가 매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자세의 변화는 다리의 축에 영향을 주고, 결국 걸음걸이의 패턴도 달라지게 됩니다. 실제로 척추가 전방전위 상태일 경우 엉덩이가 빠지고 X자형 다리로, 후방전위일 경우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며 O다리로 이어지는 경우 가 많습니다. 결국 걷는 방식이 이상해지는 것이 아니라, 자세가 변하면서 걸음걸이도 그에 따라 바뀌는 것입니다. O다리와 X자다리의 원인과 걸음걸이 변화 보통 O다리는 다리가 휘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골반의 비대칭, 무릎의 내회전 또는 외회전, 발목의 안정성 저하 등 복합적인 원인 이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보행 습관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로 특정한 걸음걸이 패턴이 고착화됩니다. X자 다리 또한 단순히 무릎이 안쪽으로 붙는 문제가 아니라, 고관절과 무릎의 관계, 체중 분산의 불균형 등이 얽혀 있는 복잡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런 체형적 원인...

관절 통증 완치 가능한가? 자세 교정으로 통증 잡는 진짜 방법

이미지
  요즘 건강기능식품 광고를 보다 보면 가끔 실소가 나옵니다. “찌릿한 관절 통증, 이것 하나면 해결!”이라는 멘트에 배우가 계단을 성큼성큼 오르내리는 장면. 물론 좋아질 수도 있겠지요. 아니, 정확히 말하면 좋아진 것처럼 느껴질 수는 있습니다 . 하지만 문제는 그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느냐입니다. 그리고 정말 완치에 가까운 호전이 가능한가, 그것이 핵심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합니다. 관절 통증은 만성화되기 전이라면 자세 교정만으로도 충분히 회복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만 믿다간 골든타임을 놓친다 관절이 아플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병원을 찾거나 한의원을 갑니다. 물리치료를 받고 침을 맞고, 진통제나 건강기능식품도 곁들입니다.  광고는 더 없이 달콤하죠. 관절에 좋은 성분이 들어 있어 통증을 잡아준다고 하니 혹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통증을 느끼는 부위는 원인이 아닐 수 있다 는 점입니다. 통증은 ‘결과’이지 ‘원인’이 아닙니다. 그런데 대다수의 치료는 이 통증이라는 결과에만 집중합니다. 원인은 그대로 둔 채 말이죠. 물리치료, 침, 스테로이드, 영양제… 모두 단기적 처방입니다. 통증은 줄일 수 있어도, 그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다시 되돌아오는 건 시간문제입니다. 관절 통증의 근본 원인은 자세에 있다 우리가 자주 놓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세 입니다.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로 앉고, 걷고, 누웠던 결과가 바로 관절 통증입니다. 특히 한국인은 좌식 생활과 책상 문화로 인해 특정 부위에 부담이 집중되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잘못된 자세는 아래와 같은 악순환을 만듭니다: 무릎이나 고관절에 체중 과부하 허리나 목의 만성 피로 축적 근육 불균형으로 인한 통증 확대 관절 가동 범위 제한 및 연골 손상 가속화 이 모든 문제의 시작점이 자세라면, 그 해결책 또한 자세에서 찾아야 하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일입니다. 병원만 믿다가 만성화되는 사람...

골반이 바르면 통증이 사라집니다 – 자세 교정의 힘

이미지
 우리가 느끼는 통증의 근원은 어디에서 시작될까? 일상 속에서 흔히 겪는 허리 통증, 목 뻐근함, 어깨 결림, 무릎 시림 같은 증상들. 많은 사람들이 그저 ‘나이 탓이겠지’, ‘피곤해서 그렇겠지’ 하고 지나칩니다. 그러나 이러한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추적해보면, 그 중심에는 골반의 불균형 이 놓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반은 우리 몸의 중심축이자, 상체와 하체를 이어주는 기초 구조입니다. 이 축이 무너지면 전신의 균형이 틀어지기 시작하고, 결과적으로 다양한 부위에 통증이 생깁니다. 놀라운 점은 이 변화가 너무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우리는 그 변화를 거의 인식하지 못한 채 통증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 변화가 천천히 쌓여왔다면, 다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 몸은 스스로 균형을 잡고 회복하려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를 자극하는 가장 쉬운 실천이 바로 바르게 앉기 입니다. 하루 3분, 바르게 앉기만으로 몸을 재설계하다 복잡한 운동이나 고가의 치료 장비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하루 3분, 바로 앉는 연습만으로도 몸은 스스로 균형을 되찾기 시작합니다.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이 자세는 골반을 중심으로 몸 전체의 정렬을 재설계해 줍니다. 다음은 ‘바로 앉기’ 자세를 위한 9단계입니다. 하루에 단 3분씩, 꾸준히 실천해보세요. 바로 앉기 9단계 의자 선택부터 시작합니다. 무릎이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허벅지와 바닥이 수평이 되는 높이의 의자 를 준비하세요. 엉덩이만 걸치듯 앉습니다. 의자 깊숙이 기대지 말고, 엉덩이만 의자에 살짝 얹는 느낌 으로 앉아야 합니다. 무릎을 직각으로 세우고 발을 정렬합니다. 발은 골반 너비로 벌리고 , 발끝을 수평으로 맞춰주세요. 무릎도 직각으로 바르게 세워야 합니다. 상체를 허벅지 위로 숙입니다. 하체는 그대로 두고, 상체를 허벅지까지 숙이고  골반을 태엽 감듯 전방으로 굴립 니다. 상체를 곧게 세웁니다. 중심은 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