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강보험료인 게시물 표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임대소득 있으면 보험료 얼마나 오를까?

이미지
  건강보험 고지서를 받아 들고 한숨 쉬는 분들, 요즘 많습니다. 특히 직장 다니다 퇴직하거나, 전업 프리랜서가 되어 지역가입자로 전환된 뒤, 보험료가 확 뛰는 걸 보고 당황하셨을 겁니다. 더구나 임대소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금액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상당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건 또 무슨 기준으로 매긴 건가?” “월세 조금 받는 건데, 왜 이렇게 많이 내야 하지?” 의문이 생기는 건 당연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임대소득이 있는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가 어떤 구조로 계산되는지, 그 기준은 무엇이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있는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소득 따라 올라가는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일 때는 월급에서 일정 비율로 건강보험료가 자동으로 빠져나가니, 계산 과정을 따져볼 일이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역가입자는 다릅니다. 월소득, 재산, 자동차 등 갖가지 요소가 건강보험료 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도 ‘임대소득’은 보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항목입니다. 주택을 세놓고 월세를 받거나, 상가 건물에서 임대료를 받는 경우, 그 금액이 일정 수준을 넘기면 바로 보험료 산정에 반영됩니다. 건강보험공단은 국세청으로부터 매년 소득 자료를 넘겨받아 이를 기준으로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부과합니다. 그래서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그 이듬해부터 반영되어 건강보험료가 오르거나 줄어들게 됩니다. 임대소득, 어디까지 보험료에 반영될까? 건강보험료를 계산할 때는 ‘소득 종류별 반영률’이 다릅니다. 근로소득·연금소득: 50% 반영 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기타소득: 100% 반영 임대소득은 ‘사업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에 100% 전액이 건강보험료 산정에 반영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소득금액’이라는 표현입니다. 즉, 임대료 총수입에서 필요경비(관리비·수선비 등)를 뺀 후, 각종 공제까지 하고 남은 ‘실제 과세되는 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연간 월세로 2,400만 원을 벌었다고 해도, 필요경비 50%와 기본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