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무쾌감증원인인 게시물 표시

무쾌감증 원인과 극복, 여에스더 사례로 보는 정신건강의 민낯

이미지
  ‘잘 나가는 사람’도 무너질 수 있다는 것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여에스더’라는 이름은 하나의 브랜드였습니다. 의사 출신이라는 전문성에, 성실하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까지 더해져 많은 이들의 신뢰를 받아온 인물이었죠. 그녀가 만든 비타민은 홈쇼핑에서 매진을 거듭했고, 수천억 원의 매출은 그의 성공을 입증하는 수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뉴스를 통해 전해진 소식은 충격적이었습니다. 매출 급감, 국세청 세무조사, 그리고 그녀의 입을 통해 전해진 말 한마디, “심한 우울증과 무쾌감증을 겪고 있다.” 화려한 겉모습 뒤에 감춰진 고통, 그 민낯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었습니다. 이쯤 되면 우리는 한 가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도대체 무쾌감증이란 무엇일까?’ 아무 감정이 느껴지지 않는 삶 무쾌감증(Anhedonia)은 말 그대로 ‘기쁨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웃긴 드라마를 봐도, 좋아하던 음식을 먹어도, 오래 기다리던 여행을 떠나도 아무런 감정의 파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 흔히 우울증의 한 증상으로 여겨지지만, 단순한 ‘우울함’과는 결이 다릅니다. 우울증은 슬픔, 절망감, 무기력 등의 감정을 강하게 느끼는 반면, 무쾌감증은 ‘감정 자체가 사라진 상태’에 가깝습니다. 기쁜 일에도 무덤덤하고, 즐거운 활동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마치 삶의 색깔이 모두 빠져나간 듯한 느낌이죠. 겉으로 보기에 아무 문제없어 보이는 사람이 느닷없이 “아무 것도 재미없다”고 털어놓는다면, 그것은 단순한 짜증이나 피곤함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무쾌감증이 시작되는 신호일지도 모릅니다. 왜 무쾌감증이 생기는 걸까? 정신의학적으로 무쾌감증은 뇌의 도파민 시스템 이상과 연관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우리에게 ‘기쁨’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인데, 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 자극에도 뇌가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이상은 단순히 뇌 안에서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장기간의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과도한 책임감, 그리고 완벽주의 성향 등이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