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혈압식습관인 게시물 표시

고혈압 약 평생 먹어야 하나요? 식습관으로 조절하는 방법

이미지
  약은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 과연 진실일까 “한 번 고혈압 약을 시작하면 죽을 때까지 먹어야 한다.”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말입니다. 이 말은 고혈압이라는 병이 단순히 약으로 눌러 놓는 병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며, 동시에 ‘벗어날 수 없는 굴레’ 같은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이 말이 반드시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고혈압은 체내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유전적인 소인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생활습관에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식습관은 혈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약 없이도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식습관이 혈압을 바꾼다 고혈압의 가장 큰 특징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본인이 고혈압이라는 사실조차 모른 채 지내는 경우도 많고, 진단을 받고 나서도 크게 불편하지 않다 보니 관리를 소홀히 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면 심장병, 뇌졸중, 신장 질환 등 더 심각한 합병증을 부를 수 있습니다. 이런 고혈압의 관리를 위해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식생활의 개선 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식습관은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나트륨 섭취 줄이기 : 소금은 혈압을 높이는 주범입니다. 국물 요리, 젓갈, 가공식품 등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가공식품 피하기 : 햄, 소시지, 인스턴트식품 등은 염분과 포화지방이 많아 혈압에 악영향을 줍니다. 채소와 과일 늘리기 : 특히 칼륨이 풍부한 바나나, 토마토, 시금치 등은 나트륨 배출을 도와 혈압 조절에 유익합니다. 통곡물 선택하기 : 정제된 흰쌀이나 밀가루보다는 현미, 귀리, 보리 등 섬유질이 많은 곡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 섭취 줄이기 : 동물성 지방보다는 식물성 지방을 선택하고, 기름진 음식보다는 구이·찜 요리를 선호하세요. 이러한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