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능성식품인 게시물 표시

관절 건강 지키는 기능성식품, 과장광고에 속지 않는 법

이미지
  나이가 들수록 관절은 서서히 무너지는 곳부터 신호를 보냅니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하거나, 아침에 일어나 첫걸음을 내디딜 때 발목이 뻣뻣하게 느껴진다면 관절 건강을 챙겨야 할 시점입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해준다는 기능성식품들이 넘쳐나는 요즘, 정말 믿고 먹어도 되는 걸까요? 관절 건강에 도움 되는 주요 성분들 관절 건강을 위한 기능성식품을 고를 때는 성분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MSM, 칼슘, 비타민 D 등이 있습니다. 글루코사민 : 관절 연골을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로, 무릎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는 사람마다 다르며, 장기간 섭취해야 한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콘드로이틴 : 연골 내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글루코사민과 함께 복합제로 많이 사용되며, 염증 억제 효과도 일부 보고된 바 있습니다. MSM(메틸설포닐메탄) : 항염증 작용을 통해 통증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성분입니다. 칼슘 & 비타민 D : 뼈 건강의 기본입니다. 관절이 튼튼하려면 뼈가 건강해야 하고, 그 기본이 되는 영양소입니다. 과장광고,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문제는 이러한 성분들이 들어있다는 이유만으로 '먹기만 하면 관절이 좋아진다'는 식의 광고가 넘쳐난다는 점입니다. 이는 명백한 과장입니다. 식약처에서도 기능성식품의 효능을 표현할 때는 '도움을 줄 수 있음'이라는 표현을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특히 “100% 관절 통증 완화”, “무릎 수술 없이 해결” 등 확신에 찬 표현은 대부분 과장광고일 가능성이 큽니다. 기능성식품은 의약품이 아니며, 치료 목적이 아닌 보조 수단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제품은 의심스러운 해외 인증 마크나 논문을 강조하면서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기도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국내외 연구기관의 자료인지, 식약처 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