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1만보걷기인 게시물 표시

1만보 걷기보다 6천보 걷기, 중년에게 더 건강한 이유

이미지
  우리나라에서 최근 하루 1만보 걷기는 일종의 건강 교과서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아침저녁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를 보면, 만보기를 차고 걷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1만보를 걸어야 한다는 믿음이 상당기간 동안 사회 전반에 뿌리내렸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 1만보라는 숫자는 어디서부터 시작된 걸까요? 정말 누구에게나 맞는 기준일까요? 특히 중년 이후의 나이에 접어든 사람들에게 1만보 걷기는 과연 무리가 없는 운동일까요? 1만보는 과학이 아닌 마케팅에서 시작되었다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시지만, 하루 1만보 걷기의 기원은 과학적 연구가 아닌 1960년대 일본의 만보기 광고에서 비롯됐습니다. 당시 '만보계(萬歩計)'라는 제품 이름이 상징적으로 사용되면서, 1만보가 마치 건강의 기준처럼 자리 잡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연구들이 밝혀낸 사실은, 꼭 1만보를 채우지 않아도 건강 효과는 충분하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중장년층이나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1만보가 과한 목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운동은 무조건 많이 한다고 좋은 것이 아니며, 각자의 몸 상태에 맞는 강도와 시간이 더 중요합니다. 중년에게는 6천보가 더 현실적이고 효과적이다 중년이 되면 자연스럽게 체력은 떨어지고, 무릎이나 관절에 부담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럴 때 무리하게 1만보를 채우려 하면 오히려 통증이 생기고, 운동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하버드 의대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하루 4,000보 이상 걷는 사람들과 비교해 6,000~7,000보 걷는 사람들은 사망 위험률이 크게 낮아진다고 합니다. 단지 2천보 늘렸을 뿐인데 건강 효과는 분명하게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8천보를 넘어서면서부터는 추가적인 효과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즉, 걷기의 효과는 일정 수준까지는 분명하게 상승하지만, 그 이상은 오히려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중년에게 있어 6천보는 몸에 무리가 없으면서도 심폐 건강과 대사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