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바른걸음걸이인 게시물 표시

바른 걸음걸이 교정, 걸음만 고쳐선 안 되는 이유

이미지
  요즘 온라인상에서도, 오프라인에서도 ‘걸음걸이 교정’을 지도한다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바르게 걷는 법을 가르치고, 올바른 자세로 걷는 연습을 돕는 영상이나 클래스도 흔합니다. 그런데 저는 여기에 한 가지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과연 걸음걸이 문제는 정말 '걸음'의 문제일까? 걸음걸이 문제, 정말 ‘걸음’의 문제일까? 많은 사람들이 안짱다리, 팔자걸음, 뒤뚱거림 등의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발끝 각도나 무릎 위치를 조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시도가 본질을 빗겨간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낚시대 끝을 붙잡고 손잡이를 조정하려는 것처럼, 겉으로 드러난 문제만 해결하려 하는 접근이지요. 걸음걸이는 결과물입니다. 그 결과를 만든 원인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자세, 체형의 구조적 변화입니다. 체형과 자세가 걸음걸이를 바꾼다 척추와 골반, 고관절의 정렬 상태는 우리가 걷는 방식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앉은 시간이 긴 현대인들에게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틀어진 골반, 굽은 등, 앞으로 쏠린 목 등의 체형 변화가 매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자세의 변화는 다리의 축에 영향을 주고, 결국 걸음걸이의 패턴도 달라지게 됩니다. 실제로 척추가 전방전위 상태일 경우 엉덩이가 빠지고 X자형 다리로, 후방전위일 경우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며 O다리로 이어지는 경우 가 많습니다. 결국 걷는 방식이 이상해지는 것이 아니라, 자세가 변하면서 걸음걸이도 그에 따라 바뀌는 것입니다. O다리와 X자다리의 원인과 걸음걸이 변화 보통 O다리는 다리가 휘었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골반의 비대칭, 무릎의 내회전 또는 외회전, 발목의 안정성 저하 등 복합적인 원인 이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보행 습관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로 특정한 걸음걸이 패턴이 고착화됩니다. X자 다리 또한 단순히 무릎이 안쪽으로 붙는 문제가 아니라, 고관절과 무릎의 관계, 체중 분산의 불균형 등이 얽혀 있는 복잡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런 체형적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