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환불 마케팅의 진실, 효과 없으면 진짜 100% 환불될까?

소비자의 기대를 자극하는 한 문장 건강기능식품을 고를 때, 우리는 과학적 근거보다 감정에 먼저 반응하게 됩니다. 특히 “효과 없으면 100% 환불”이라는 문구는 믿음을 넘어 안도감까지 줍니다. 아무리 비싼 제품이라도 효과가 없으면 돈을 돌려준다는 약속이니, 마치 리스크가 없는 투자처럼 느껴지죠. 하지만 이 말에 진짜 숨은 뜻이 무엇인지, 소비자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마케팅은 과학보다 감정에 기대고 있다 “100% 환불”이라는 보장은 언뜻 보면 매우 합리적인 조건처럼 보입니다. 효과가 없으면 환불을 요청하면 되니까요. 그러나 건강기능식품의 ‘효과’란 도대체 어떤 상태를 말하는 걸까요? 체중 감량? 장 건강 개선? 피로 회복? 그 기준은 소비자마다 다르고, 측정도 어렵습니다. 기업은 바로 이 점을 이용합니다. ‘효과가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책임은 소비자에게 있습니다. 환불을 요청하면, 몇 달간 꾸준히 복용했는지, 식사 전 공복 상태에서 복용했는지, 병원 진단서 등으로 상태 변화를 증명할 수 있는지 등을 요구받게 됩니다. 환불이 불가능한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게 설계된 시스템인 셈이죠. 소비자는 왜 자꾸 속을까 이런 마케팅은 단순한 상술이 아닙니다. 심리학적으로도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인간은 손실 회피 성향이 강합니다. 똑같은 이익이라도 손해를 피하는 쪽에 더 끌립니다. 10만 원짜리 건강기능식품을 사는 건 부담스럽지만, “어차피 환불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 손해 볼 일이 없으니 심리적 장벽이 낮아지는 것이죠. 또한 후기 마케팅과 결합되면 이 효과는 배가됩니다. 블로그나 SNS에 올라온 ‘환불받았다’는 후기는 구매 결정을 빠르게 앞당깁니다. 그러나 그런 후기들이 실제 환불을 받은 소비자의 경험인지, 협찬 마케팅인지 확인할 방법은 없습니다. 소비자는 감정에 따라 구매하고, 논리보다 분위기에 이끌립니다. 법의 사각지대, 규제의 한계 건강기능식품은 일반 식품과 의약품의 중간 지점에 있습니다. 식약처에서 기능성을 인증받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