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탕기인 게시물 표시

약초 달임 vs 중탕, 산약초 제대로 먹는 법

이미지
  약초,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효과도 달라진다 몸에 좋다는 산약초를 구해놓고 어떻게 먹어야 할지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 흔히 '약초를 달인다'는 말을 많이들 쓰지만, 어떤 분들은 '중탕한다'는 표현도 씁니다.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이 두 방법은 분명한 차이가 있고, 잘 구분해서 써야 약초의 진짜 효능을 제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귀한 인삼을 직접 끓여버려서 중요한 성분을 날렸다고 하고, 또 어떤 이는 너무 약하게 우려서 거의 물 맛만 남았다고 하소연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어떻게 먹느냐’입니다. 같은 약초도 방법에 따라 그 효과가 천차만별이니까요. 지금부터 약초 달임과 중탕의 차이를 확실히 알아보고, 내 몸에 맞는 복용법을 제대로 익혀봅시다. 달임과 중탕, 결정적인 차이 한 가지 약초 달이기 는 전통적인 한방 방식입니다. 약탕기나 냄비에 약초와 물을 함께 넣고 직접 불을 올려 끓입니다. 물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중불이나 약불로 줄여서 오랜 시간 우려내죠. 이때 온도는 대개 100도 이상까지 올라가며, 강한 열로 약초의 유효 성분을 빠르게 추출합니다. 중탕하기 는 방식이 다릅니다. 물이 담긴 큰 냄비에 약초를 넣은 작은 그릇을 띄우거나 중탕기기를 사용해,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온도는 약 70~90도 사이. 직접 끓이지 않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성분이 덜 파괴되고, 향과 맛도 좀 더 부드럽게 살아있습니다. 즉, 핵심 차이는 직접 가열이냐, 간접 가열이냐 , 이 한 가지입니다. 단순한 차이 같지만 이 방식에 따라 약초의 성분이 달리 추출되며, 약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어떤 약초는 달이고, 어떤 약초는 중탕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달이고, 언제 중탕해야 할까요? ✔ 달이는 것이 좋은 경우 일반적인 보약이나 감기약, 피로회복용 약초 열에 강하고 깊은 맛을 내야 하는 약재 예: 감초, 황기, 생강, 계피 등 ✔ 중탕이 더 효과적인 경우 인삼, 녹용, 침향처럼 열에 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