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 종류 총정리: 폭염 속 열사병·열탈진 증상과 예방법
7월 중순, 전국 곳곳에 폭염특보가 내려졌습니다. 기온은 35도를 웃돌고, 아스팔트 위 체감온도는 40도에 육박합니다. 더위가 일상이 된 요즘, 매년 반복되는 폭염 속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 바로 '온열질환'입니다.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단어지만, 막상 어떤 증상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온열질환의 종류와 증상, 그리고 예방 및 대응 요령까지 차근차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다양한 온열질환, 어떻게 구분할까?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오래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건강 이상 상태를 통칭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발진 등이 있으며, 각 질환마다 원인과 증상이 다릅니다.
열사병
가장 위험한 온열질환입니다. 체온조절 기능이 마비되면서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치솟고, 의식장애, 경련, 혼수상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증상: 의식 혼미, 고열, 피부 건조하고 뜨거움, 빠른 심박수
응급처치: 즉시 119 신고,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옷을 느슨하게 하며 체온을 빠르게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탈진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부족해지며 발생합니다.
증상: 어지러움, 구토, 무기력감, 차가운 땀, 창백한 피부
대응법: 그늘에서 휴식, 수분·전해질 섭취. 증상이 심하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열경련
무더운 환경에서 무리한 운동을 했을 때 발생하는 근육 경련입니다.
증상: 팔, 다리, 복부 등에 갑작스러운 근육통과 경련
대응법: 시원한 곳에서 휴식, 전해질이 포함된 음료 섭취, 무리한 운동 중단
열실신
고온 환경에서 혈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져 실신하는 경우입니다.
증상: 일시적 의식 소실, 어지러움, 창백함
대응법: 다리를 높여 눕히고 시원한 장소에서 안정을 취하게 합니다.
열발진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증상: 목, 겨드랑이, 팔꿈치 등에 붉은 뾰루지나 가려움
대응법: 땀을 잘 닦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 속 실천 가능한 예방법
온열질환은 대부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 다음과 같은 수칙만 잘 지켜도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실외 활동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가급적 피하기
외출 시 챙 넓은 모자, 선글라스, 밝은 색의 헐렁한 옷 착용
1시간 간격으로 물 마시기, 갈증 느끼기 전에 미리 섭취
무리한 운동이나 작업은 피하고 중간중간 휴식
냉방기 사용 시 실내외 온도차 5도 내외 유지
어린이, 노약자, 반려동물을 차량에 절대 단독으로 남기지 않기
특히 노인과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더 취약하므로 주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또한, 온열질환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즉시 응급조치를 취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무심코 넘기기 쉬운 더위, 그러나 대처는 철저히
폭염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요소입니다. 온열질환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올바른 정보와 적절한 행동만 있다면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철, 여러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오늘부터 작은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이 정도 더위야'라는 생각보다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때입니다.
오늘의 정보가 여러분의 여름을 조금 더 안전하게 만들어주길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