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유통기한 확인, 올바른 보관법과 폐기법 총정리

 


식탁을 점령한 약, 제대로 관리하고 계신가요?

나이가 들수록 식탁 위에는 밥그릇보다 약통이 더 많아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 관절염, 위장약까지. 한두 알로 끝나지 않고 종류도 다양해지죠. 그런데 한 번 생각해 보세요. 그 약, 유통기한은 확인하고 계신가요? 혹시 먹다 남은 약을 아무렇게나 보관하다가 나중에 또 먹는 건 아닌가요?
많은 사람들이 약은 그냥 두어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잘못 보관하면 약의 효능은 물론,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약의 유통기한과 올바른 보관법, 그리고 남은 약을 안전하게 폐기하는 방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약 유통기한, 왜 꼭 확인해야 할까?

약의 유통기한은 단순히 판매를 위한 날짜가 아닙니다. 제약회사가 약의 효능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한이 바로 유통기한입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약 성분이 변질되거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독성 물질이 생길 수도 있어요.

일반적인 약 유통기한

  • 알약, 캡슐제: 제조일로부터 보통 24~36개월

  • 시럽제, 액상제: 개봉 전에는 1~2년 가능하지만 개봉후에는 2주~1개월 이내

  • 가루약: 약국에서 포장한 경우, 보통 3개월 이내

  • 연고, 점안액: 개봉 후 1개월 내 사용 권장

특히 액체 형태의 약은 개봉 후 공기와 접촉하면서 세균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통기한을 꼭 지켜야 합니다.


약 보관, 어디에 두는 게 가장 안전할까?

대부분의 가정에서 약을 보관하는 장소는 주방 찬장, 욕실 선반, 또는 냉장고입니다. 그런데 이게 정말 맞는 방법일까요?

약 보관의 기본 원칙

  1. 습기, 빛, 고온을 피할 것
    약은 고온과 습기에 약합니다. 특히 욕실은 습기가 많고 주방은 온도 변화가 심해 약 성분이 쉽게 변질될 수 있습니다.

  2. 원래 용기에 보관할 것
    약을 다른 통에 옮겨 담으면 약 이름이나 유통기한을 잊기 쉽고, 잘못 복용할 위험이 큽니다. 가능하면 원래 포장 그대로 보관하세요.

  3. 냉장 보관은 예외적으로
    모든 약을 냉장고에 넣는 것은 오히려 약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인슐린, 일부 점안액처럼 ‘냉장 보관’ 표시가 있는 약만 냉장 보관하세요.


약별 보관법, 이렇게 하세요

  • 알약, 캡슐제: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보관

  • 가루약: 밀폐용기에 넣어 습기 차단

  • 액상약: 개봉 후 냉장 보관 권장, 2주~1개월 내 사용

  • 점안액: 개봉 후 1개월이 지나면 폐기


남은 약, 그냥 버리면 안 됩니다

가끔 먹다 남은 항생제나 진통제를 다음에 또 쓰려고 보관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매우 위험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부작용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남은 약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 물에 타서 버리면 절대 안 됩니다. 약 성분이 하수로 흘러가 환경 오염을 유발합니다.

  • 약국이나 보건소 약품 수거함 이용: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불가피하게 가정에서 버릴 때: 약을 신문지에 싸고 음식물 쓰레기와 섞어서 버리는 것이 차선책입니다.


꼭 기억해야 할 핵심 팁

  • 약은 유통기한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습기, 열, 빛을 피하고 원래 용기에 보관하세요.

  • 냉장 보관은 표시된 약만 해당됩니다.

  • 남은 약은 함부로 복용하지 말고, 약국이나 보건소에서 안전하게 폐기하세요.


건강을 위해 먹는 약이 잘못된 보관 때문에 독이 된다면 안 되겠죠. 오늘 알려드린 보관법과 폐기법을 꼭 기억하시고, 안전한 약 관리로 건강을 지켜가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