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제 vs 진경제, 어떤 약을 언제 먹어야 할까?
헷갈리기 쉬운 두 약, 차이부터 알아야 합니다
두통이 심하거나 복통이 올 때, 약국에서 ‘진통제 주세요’라고 말하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통증이 있다고 무조건 진통제를 먹는 건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통증의 원인에 따라 ‘진통제’가 아닌 ‘진경제’가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두 약은 이름이 비슷해 헷갈리지만, 작용 방식과 효과가 전혀 다릅니다. 오늘은 진통제와 진경제의 차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약을 선택해야 하는지 정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진통제, 통증을 직접 줄이는 약
진통제는 말 그대로 통증을 줄이는 약입니다. 두통, 치통, 근육통, 관절통 등 다양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죠. 이 약은 뇌나 신경계에서 통증 신호를 줄이거나, 염증 반응을 완화해 고통을 덜 느끼도록 합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진통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세트아미노펜: 열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소염 작용은 약합니다.
-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소염진통제로, 염증이 동반된 통증(예: 관절염, 생리통)에 자주 사용됩니다.
주의할 점: 진통제는 통증 원인을 해결하는 약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치통이 심해 진통제를 먹으면 통증은 줄지만, 충치는 그대로죠. 따라서 원인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진경제, 근육 경련을 풀어주는 약
진경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는 약입니다. 특히 내장 근육, 즉 위장관이나 자궁 같은 평활근이 과도하게 수축해 통증을 유발할 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진경제 사용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불량, 복부 경련: 위장관 운동이 지나쳐 생기는 통증 완화
-
생리통: 자궁이 강하게 수축할 때 통증 완화
-
담낭, 요로 경련: 담석이나 요로 결석으로 인한 극심한 복부 통증 완화
진경제는 근육을 이완시켜 경련을 줄이므로, 원인이 염증이나 외상인 경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결정적 차이: 목표가 다릅니다
두 약의 차이는 ‘통증의 원인’에 있습니다.
-
통증이 신경 자극에서 비롯됐다면 → 진통제
-
통증이 근육 경련 때문에 생겼다면 → 진경제
예를 들어, 생리통의 경우 단순히 통증 완화 목적이라면 진통제, 자궁 수축으로 인한 경련이 심하다면 진경제를 쓰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실제로는 두 약을 병용하기도 합니다.
잘못 쓰면 생기는 문제
진통제와 진경제를 잘못 복용하면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부작용 위험도 커집니다.
-
진통제 남용: 위장 장애, 간 손상(특히 아세트아미노펜)
-
진경제 남용: 장 운동 저하, 입마름, 어지럼증 등
특히 복통이 있을 때 무조건 진통제를 먹으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급성 맹장염일 경우 진통제를 먹으면 통증이 줄어 진단이 늦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현명한 복용을 위한 팁
-
통증 원인을 먼저 파악하세요
복통이 단순한 소화불량인지, 혹은 맹장염이나 장폐색 같은 질환 때문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
증상이 지속되면 약을 계속 먹지 말고 병원으로
진통제나 진경제는 응급 대처용이지, 근본 치료가 아닙니다. -
약사나 의사 상담을 습관화하세요
특히 만성질환자나 임신부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후 복용하세요.
기억해야 할 핵심 포인트
-
진통제는 통증 신호를 차단, 진경제는 근육 경련을 완화합니다.
-
약을 고를 때는 통증 원인을 먼저 확인하세요.
-
약물 오남용은 부작용을 부르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건강은 사소한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약을 선택할 때 ‘이게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 약일까?’ 한 번만 생각해 보세요. 그 작은 차이가 안전을 지켜줍니다.
댓글
댓글 쓰기